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JS
- 리액트댓글기능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포이마웹
- 코딩테스트
- 백준js
- 백준구현
- JS
- css기초
- 익스프레스
- js코테
- 백준nodejs
- 리액트
- 백준
- 코테
- 백준구현문제
- 백준골드
- 몽고DB
- JS프로그래머스
- HTML5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CSS
- 프로그래머스
- 백준알고리즘
- 리액트커뮤니티
- HTML
- 자바스크립트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코테
- dp알고리즘
- Today
- Total
개발새발 로그
실행컨텍스트 본문
1. 소스코드의 타입 종류 4가지는?
- 전역 코드 -> 전역 실행 컨텍스트
- 함수 코드 -> 함수 실행 컨텍스트
- eval 코드 -> eval 실행 컨텍스트
- 모듈 코드 -> 모듈 실행 컨텍스트
2.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소스코드를 2개의 과정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세요
- 소스코드의 평가와 소스코드의 실행 과정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 평가 : 선언문만 먼저 실행, 실행 컨텍스트 생성, 생성된 변수나 함수 식별자를 키로 만들어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렉시컬 환경의 환경 레코드)에 등록한다.
- 실행 :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소스코드에 필요한 정보(변수나 함수의 참조)를 실행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스코프에서 검색해 취득한다.
3. 실행 컨텍스트가 어떻게 평가되고 실행되는지 간단히 설명해보세요
- 전역코드 평가 -> 전역코드 실행 -> 전역코드 실행 중 함수가 호출되면 일시 중단 -> 함수 코드 평가 -> 함수 코드 실행
4. 실행컨텍스트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
- 코드가 실행되려면 스코프를 구분하여 식별자와 바인딩된 값이 관리되어야한다.
- 중첨관계에 의해 스코프 체인을 형성하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도 전역 변수 처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 함수 호출이 종료되면 함수 호출 이전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코드와 이전에 실행하던 코드를 구분하여 관리해야한다.
- 코드가 실행되려면 스코프, 식별자, 코드 실행 순서 등의 관리
- 소스코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를 실제로 관리하는 영역
렉시컬 환경 : 식벽자와 스코프를 관리
코드 실행 순서 : 실행 컨텍스트 스택으로 관리
5. 실행 컨텍스트 스택이란?
- 코드의 실행 순서를 관리하는 자료구조
6. 렉시컬 환경이란?
- 식별자와 식별자에 바인딩된 값, 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를 기록하는 자료구조
- 렉시컬 스코프의 실체
- 렉시컬 환경 컴포넌트(LexicalEnvironment)와 가변 컴포넌트(VariableEnvironment)로 구성
몇가지 상황에 따라 가변 컴포넌트(VariableEnvironment)를 위한 새로운 렉시컬 환경이 생성되고,
이때 가변 컴포넌트(VariableEnvironment)와 렉시컬 환경 컴포넌트(LexicalEnvironment)의 내용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strict mode와 eval 코드, try/catch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
렉시컬 환경 컴포넌트(LexicalEnvironment)와 가변 컴포넌트(VariableEnvironment)를 구분하지 않고
렉시컬 환경으로 통일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렉시컬 환경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환경 레코드 : 스코프에 포한된 식별자를 등록하고, 등록된 식별자에 바인딩된 값을 관리하는 저장소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 상위스코프를 가리킴, 해당 실행컨텍스트를 생성한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상위 코드의 렉시컬 환경을 말한다. - 단방량 링크드 리스트인 스코프 체인을 구현한다.
7. 실행컨텍스트에서 자바스크립트는 어떻게 WEB API를 사용하는 걸까?
- 전역 코드 평가 이전에 전역 객체라는 것을 생성한다.
- 전역 객체에는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와, 전역함수, 표준 빌트인 객체가 추가되어 동작환경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DOM, BOM, Canvas, XMLHttpRequest, fetch, requestAnimationFrame, SVG, Web Storage, Web Component, Web Worker 등) 또는 특정 환경을 위한 호스트 객체를포함
- 전역 객체도 Object.prototype을 상속받아 프로토타입 체인의 일원이 된다.
8. 전역 코드 평가의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실행
2.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3. 전역 환경 레코드생성
4.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5. 선언적 환경 레코드 생성
6. this 바인딩
7.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
전역 환경 레코드 생성(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로 구성)
객체 환경 레코드에는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전역 함수
-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
- 표준 빌트인 객체
선언적 환경 레코드에는
-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를 관리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는 서로 협렵하여 전역 스코프와 전역 객체를 관리한다.
9. 호이스팅이 발생하는 원인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전역 코드 평가 시점에 객체 환경 레코드에 바인딩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에 변수 식별자를 키로 등록하고,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바인딩한다.
따라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실행 단계에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도 참조할 수 있다.
하지만 선언문 이전에 참조한 변수의 값은 무조건 undefined다.
함수 표현식도 이와 동일하게 동작
선언과 초기화를 같이한다해도 무조건 undefined임!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는 평가되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객체 환경 레코드에 바인딩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에 키로 등록하고 생성된 함수 객체를 즉시 할당한다.
그래서 함수 선언문은 선언 이전에 호출 가능함!
이게 변수 호이스팅과 함수 호이스팅의 차이다.
10. let과 const는 호이스팅이 일어나지 않는다?
let과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단 let 과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런타임에 컨트롤이 변수 선언문에 도달하기 전(초기화 단계)까지
일시적 사각지대(TDZ)에 빠지기 때문에 참조할 수 없다.
호이스팅이 발생하기 때문에 참조 에러가 발생한다.
10. this 바인딩
전역 환경 레코드의 [[GlobalThisValue]] 내부 슬롯에 this가 바인딩된다.
일반적으로 전역 코드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므로
[[GlobalThisValue]] 내부 슬롯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참고로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에는 this바인딩이 없다.
this 바인딩은 전역 환경 레코드와 함수 환경 레코드에만 존재한다.
11. 변수 할당문 또는 함수 호출문을 실행하려면 선언된 식별자인지 확인해야한다. 어느 스코프의 식별자를 참조하면 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식별자 결정이라 한다. 이때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할 수 없으면 어떻게 동작하는가?
-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할 수 없으면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가 가리키는 렉시컬 환경, 즉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여 식별자를 검색한다.
- 이것이 스코프 체인의 동작 원리다.
12. 함수 코드 평가의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1. 함수 실행 컨텍스트 생성
2. 함수 렉시컬 환경 생성
3. 함수 환경 레코드 생성
4. this 바인딩
5.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13. 함수 코드 평가에서의 this 바인딩
함수 환경 레코드의 [[ThisValue]] 내부 슬롯에 this가 바인딩 된다.
일반함수로 호출되었다면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참조하면 함수 환경 레코드의 [[ThisValue]] 내부 슬롯에 바인딩 되어있는 객체가 반환된다.
14. 클로저가 발생하는 이유
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정의를 평가하여 함수 객체를 생성할 때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상위 스코프)을
함수 객체의 내부 슬롯[[Environment]] 에 저장한다.
만약 실행중인 실행 컨텍스트가
실행컨텍스트에서 제거되었다고 해서
함수 렉시컬 환경까지 즉시 소멸하지 않는다.
렉시컬 환경은 실행 컨텍스트에 의해 참조되기는 하지만 독립적인 객체다.
객체를 포함한 모든 값은 누군가에 의해 참조되지 않을 때
비로소 가비지컬렉터에 의해 메모리 공간의 확보가 해제되어 소멸된다.
그래서 만약 함수 렉시컬환경을 누군가 참조하고 있다면 함수 렉시컬 환경을 소멸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