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ss기초
- 포이마웹
- 프로그래머스코테
- 익스프레스
- 코테
- 백준구현문제
- 백준js
- 백준
- HTML
- JS
- 백준구현
- 프로그래머스
- 자바스크립트
- 백준알고리즘
- HTML5
- js코테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CSS
- 프로그래머스JS
- 코딩테스트
- 백준골드
- 리액트댓글기능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리액트커뮤니티
- 백준nodejs
- dp알고리즘
- JS프로그래머스
- 리액트
- 몽고DB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54)
개발새발 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6P73/btslaIePAvZ/IgOtjlIdq6jKdjyZuxCDr0/img.png)
우리가 서버측에 API를 작성하다보면 그 수가 점점 많아진다. 많아지게되면 관리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Express에서 제공하는 Router을 이용해 api별로 나눠주는 방법을 사용해보자 현재 아래와 같이 많은 API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식문서 Express 공식문서에 가면 사용법이 나와있다. https://expressjs.com/ko/guide/routing.html Express 라우팅 라우팅 라우팅은 애플리케이션 엔드 포인트(URI)의 정의, 그리고 URI가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라우팅에 대한 소개는 기본 라우팅을 참조하십시오. 다음 코드는 매우 기본 expressjs.com 📝작성 방법 1. 라우팅 폴더 생성 -post API가 모여있는 post.js를 생성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VkYI/btslboApHB6/ZwFfpNWjdUpDi6sI91gKC0/img.png)
현재까지의 요청 순서를 그려보았다. 게시글 Create, Read, Update 순서 이제 여기서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삭제하는 방식은 아주 간단하다. 삭제하는 순서를 그림으로 그려보았다. Delete 순서 📝실행순서 1. window.confirm을 이용해서 삭제요청 유무를 물어본다. 2. 확인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현재 게시글 postNum을 넘겨줘서 삭제요청을한다. 3.서버에서 deleteOne명령어로 몽고DB안의 postNum에 해당하는 게시글을 삭제한다.
그룹 단어 체커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131769 68695 56684 52.509% 문제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들어온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들어온다.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되어있고 중복되지 않으며, 길이..
셀프 넘버 한국어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1 초 256 MB 175079 86603 67316 48.653%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dKw0/btslafqCbQO/ARBuTJ4ayXzZknD7Bg2el0/img.png)
연구소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512 MB 82941 47677 26485 54.809% 문제 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 연구소는 크기가 N×M인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직사각형은 1×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소는 빈 칸,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 일부 칸은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이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칸으로 모두 퍼져나갈 수 있다. 새로 세울 수 있는 벽의 개수는 3개이며, 꼭 3개를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연구소가 생긴 경우를 살펴보자. 2 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gtzO/btsk9iOsQA2/lH2sJrY9I21gV21RXbeqrK/img.png)
이제 게시글 상세페이지에서 수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게시글 수정페이지로 가서 게시글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보자 이때 수정할 때는 기존의 게시글내용을 온전히 수정페이지에 가져와야한다. 먼저 순서를 그려보았다. 1. 수정버튼을 누르면 게시글 수정 페이지로 이동 2. 게시글 수정페이지에는 기존 내용이 보여져야함(서버에 기존내용 요청) 3. 수정내용 작성 후 다시 서버에 수정API 요청 4. 수정내용 DB에 저장 5.수정완료후 해당 게시글 페이지로 이동 1. 수정버튼을 누르면 게시글 수정 페이지로 이동 -LInk로 수정페이지에 이동한다 -이때 수정페이지도 App.js에 Route에 추가해줘야한다. 2. 게시글 수정페이지에는 기존 내용이 보여져야함(서버에 기존내용 요청) postNum을 이용해서 해당 게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CI3l/btslbQwgyAP/7w1n4ER2IKJvkGqzvg4FkK/img.png)
게시글들을 서버에 저장하고 만약 그 게시글들을 삭제하거나 수정 그리고 상세페이지로의 전환을 위해 게시글마다 특정한 아이디가 있어야한다. 그러면 우리는 게시글 마다 고유한 아이디를 부여해주어야한다, 고유한 아이디는 간단하게 숫자를 넣을 것이다, 먼저 순서를 그려보았다. 작동순서 1.고유한 번호를 만들기위한 counter DB생성을 위해 Counter 모델을 만들어줌 2. Counter모델을 생성하면 Counter DB가 생성됨 3. Counter DB에 수동으로 데이터를 만들어줌 4. 서버로 가서 만든 모델을 쓸수 있게 넣어줌 5. 이전에 만들었던 upload의 submit API를 수정해야됨(게시글마다 고유한 번호도 같이 저장되기위해) 6. 게시글을 생성하기 전에 Counter에 counter라는 이름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MuXc/btsla00hJgB/MTZqIpe3B8mrJUDmZxdNtK/img.png)
이제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해 불러와보자 우리가 원하는 순서를 그려보았다, 작동순서 클라이언트에서 axios요청을한다. 서버에서는 해당하는 API를 만들고 DB에서 데이터를 몽구스의 find로 찾아서 postList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다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받아 배열에 저장한다. 해당 배열을 map을 이용해 뿌려준다. 1.클라이언트에서 axios요청을한다. -클라이언트에서 useEffect를 이용해서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되면 axios 요청을한다. 2. 서버에서는 해당하는 API를 만들고 DB에서 데이터를 몽구스의 find로 찾아서 postList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3. 다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받아 배열에 저장한다. 4. 해당 배열을 map을 이용해 뿌려준다. ..